달랩 GOOSGBT 스터디 7번째 회고
객체 지향 설계의 달성
테스트를 먼저 작성하여 객체지향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. 테스트를 작성해보면
객체지향 설계 원칙을 위반하고 있는지 잘 지키고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.
테스트가 하기 어렵다면 객체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할 수 있고 필요한 서비스가
있다면 협력 객체를 만들어서 설계를 다시 할 수 있다.
좋았던 점
- 오프라인에서 책 스터디를 해서 더 많은 얘기를 할 수 있었다. 이번 챕터가 좀
길었고 함축적인 얘기가 많았는데 같이 읽어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.
아쉬웠던 점
- 읽기 어려운 글들이 많았다. 글이 얘기하는 뉘앙스나 번역이 읽는데 어려움이
있었다. 클린아키텍처는 명쾌하게 설명하는 느낌인데 이 책은 좀 더 방어적으로
설명하는 느낌이다.
Sources